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4년 육아휴직의 모든 것 (6+6, 맞돌봄 특례기간, 지급액, 사후지급금 총 정리)
    육아정보 2024. 1. 4. 06:49

    안녕하세요.
    떠먹육아입니다.
    오늘은 제가 육아휴직 공부를 하면서 찾아보았던 정보를
    누구보다 자세하게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시중에 블로그, 유튜브 거의 다 찾아보았고 궁금해하실 만한 정보도 싹 다 넣었으니
    꼭 끝까지 봐주세요.


    크게 4가지 목차로 구성했으나
    중간에 궁금해하실 만한
    질문과 답변도 넣었습니다.
    지금부터 시작할게요.

    앗. 그런데 혹시 공무원(교사)이신가요?
    공무원(교사)는 육아휴직급여가 아닌
    육아휴직수당을 받게 되니 아래의 내용이
    해당이 되질 않습니다.
    공무원 육아휴직에 대해 알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를 클릭해주세요.

    2024년 공무원 육아휴직에 대하여




    육아휴직이란?

    육아휴직이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양육을 위해 근로자가 피고용자의
    신분을 유지한 채 일정 기간 동안에
    자녀의 양육을 위해 휴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2024년 육아휴직 기간 및 최대상한액

    기존의 육아휴직 기간은 부모 각각 12개월/ 급여 상한액(최대 지급받을 수 있는 금액) 150만 원이었는데요.
    2024년부터는 부모 각각 18개월(조건ㅇ)/ 급여 상한액 206만 원이 됩니다.

    (단 위의 표에서 부모 각각 18개월을 쓸 수 있는 조건이 있는데요.
    자녀 1명당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썼을 경우에만 각각 6개월씩 연장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18개월로 연장되었다고 해도
    해당되기란 쉽지 않을 수 있겠네요.

    그래도 급여 상한액이 150만 원에서 206만 원으로 약 27% 상승하게 된 건 희소식입니다.



    맞돌봄 특례기간?

    맞돌봄 특례기간이란
    6+6 부모육아휴직제도와 관련이 있는데요.
    부모가 생후 18개월 미만의 아이를 대상으로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휴직을 할 경우에
    육아휴직 첫 6개월간
    통상임금의 100%를
    월 200- 450만 원 상한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표로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2024년 표를 보시면
    첫 한 달 200만 원을 시작으로 6개월까지
    매달 상한액이 50만 원씩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이
    만약에 내가 받는 임금이 180만 원이었다고 하면
    이 혜택은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혜택입니다.
    왜냐하면 이 표에 제시된 금액은
    최대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이지
    절대적으로 수령하는 금액이 아닙니다.
    따라서 임금이 180만 원 받던 사람이
    육아휴직을 쓴다고 해서 200만 원을 받게 되지는 않는다는 말입니다.

    또한 2024년을 기준으로 6개월이 넘어간다면
    기존에 받는 맞돌봄 특례기간이 지나게 되어
    통상적으로 받는 육아휴직 상한액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하지만 2023년과 비교했을 때 기본 육아휴직 상한액이
    올랐으니 더 받을 수 있겠네요.

    이미 2023년에 육아휴직을 쓰고 계시다면?


    이 고민도 많이 되실 건데요.
    희소식은 부모 중 한 명이라도 내년 1월 이후 요건에 맞게
    육아휴직을 사용하신다면
    6+6 개정시행령의 적용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육아휴직 조건


    조건은 크게 3가지로 되어있는데
    잘 읽어보시고 해당되시는지 체크해 보세요.

    여기서도 주의할 것이
    임금을 받은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사업주가 육아휴직을 거부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외의 경우에는 반드시 승인을 해주어야 합니다.

    사후지급금 폐지

    듣던 중 반가운 소리네요.
    기존에는 사후지급금이라고 해서
    육아휴직으로 받는 금액 중 25%를
    복직한 후 6개월이 지난 시점에 일괄 지급하는
    제도가 있었는데요.
    안 그래도 육아휴직 상한액 때문에
    월급이 적었는데
    75%밖에 받질 못하니
    부담이 많이 되던 것이 사실이었습니다.

    하지만 2024년부터는 사후지급금도 폐지된다고 하니
    좀 더 나은 환경에서 육아할 수 있겠네요.

    육아휴직 신청방법(모바일)


    크게 6단계로 나누어집니다.
    1. 고용 보험 모바일 앱 다운
    2. 모성보호 > 육아휴직 급여 신청 클릭
    3. 로그인 후 신청인, 신청내용 작성
    4. 육아휴직서류 첨부
    5. 동의서 작성 및 저장
    6. 처리점 선택 (회사 주소나 집 근처 처리점으로 선택)




    오늘 저희 포스팅이
    육아휴직을 하시려는 분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Designed by Tistory.